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인가구 중위소득 100% (2026년 최신 기준표·계산 방법)

by 로움벌스 2025. 8. 21.

2인가구 중위소득
2인가구 중위소득 기준표

2026년 2인가구 중위소득 100% 기준표와 계산 방법이 공개되었습니다. 올해 복지 지원금과 각종 혜택은 이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따라 받느냐 못 받느냐가 갈립니다. 단순한 표와 계산식뿐 아니라, 실제 월급 기준 예시까지 정리했으니 지금 확인해 보세요. 내 가구가 해당되는지 직접 대입해보고, 바로 신청할 수 있는 복지 혜택까지 연결해 드립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내게 맞는 혜택’을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2인가구 중위소득2인가구 중위소득 100% 2인가구 중위소득 100% 기준표

중위소득 개념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의 소득을 낮은 순에서 높은 순으로 배열했을 때 정확히 가운데에 위치한 값입니다. 정부는 이 값을 기준으로 각종 복지사업의 소득요건을 설정합니다(예: 32%·40%·48%·50% 등).

2025·2026 비교표

가구원 수 2025년 2026년 증가액 인상률
1인 2,392,013 2,564,238 172,225 +7.20%
2인 3,932,658 4,199,292 266,634 +6.79%
3인 5,025,353 5,359,036 333,683 +6.63%
4인 6,097,773 6,494,738 396,965 +6.51%
5인 7,108,192 7,556,719 448,527 +6.31%
6인 8,064,805 8,555,952 491,147 +6.08%
7인 8,988,428 9,515,150 526,722 +5.86%

※ 8인 이상 가구: 2026년에는 1인 추가 시 959,198원을 가산합니다.

계산 방법

내 소득이 중위소득 몇 %인지는 아래 식으로 계산합니다.
(소득인정액 ÷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100%) × 100

예) 3인가구 월소득 1,700,000원 → 1,700,000 ÷ 5,359,036 × 100 ≈ 31.7%

대표 예시(1인·4인)

1인가구

2026년 1인가구 100%: 2,564,238원

예: 세전 급여 약 256만 원이면 1인가구 100% 수준에 근접합니다.

4인가구

2026년 4인가구 100%: 6,494,738원

예: 맞벌이 합산 월 640만~660만 원대면 4인가구 100% 전후입니다.

가구별 예시 모음

  • 2인가구: 합산 약 420만 원 → 100%
  • 3인가구: 합산 약 536만 원 → 100%
  • 5인가구: 합산 약 756만 원 → 100%
  • 6인가구: 합산 약 856만 원 → 100%
  • 7인가구: 합산 약 952만 원 → 100%

급여 예시(월급 기준)

실제 급여(세전)를 가정해 중위소득 100% 대비 비율을 계산했습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2026) 급여 예시(세전) 비율 판정
1인 2,564,238원 2,500,000원 약 97.5% 충족
2인 4,199,292원 4,000,000원 약 95.2% 충족
3인 5,359,036원 5,500,000원 약 102.6% 초과
4인 6,494,738원 6,000,000원 약 92.4% 충족

안내: 급여 예시는 세전 기준입니다. 프리랜서·사업소득자는 최근 신고액을 월 평균으로 환산해 합산하세요.

중위소득 복지급여중위소득 수급기준

생계급여 (32%)

가구원 수 32% 금액
1인 820,556원
2인 1,343,773원
3인 1,714,892원
4인 2,078,316원
5인 2,418,150원
6인 2,737,905원
7인 3,044,848원

예: 3인 1,700,000원 → 5,359,036원의 약 31.7% → 생계급여 가능

의료급여 (40%)

가구원 수 40% 금액
1인 1,025,695원
2인 1,679,717원
3인 2,143,614원
4인 2,597,895원
5인 3,022,688원
6인 3,422,381원
7인 3,806,060원

예: 4인 2,500,000원 → 6,494,738원의 약 38.5% → 의료급여 가능


주거급여 (48%)

가구원 수 48% 금액
1인 1,230,834원
2인 2,015,660원
3인 2,572,337원
4인 3,117,474원
5인 3,627,225원
6인 4,106,857원
7인 4,567,272원

예: 5인 3,400,000원 → 7,556,719원의 약 45.0% → 주거급여 가능

교육급여 (50%)

가구원 수 50% 금액
1인 1,282,119원
2인 2,099,646원
3인 2,679,518원
4인 3,247,369원
5인 3,778,360원
6인 4,277,976원
7인 4,757,575원

예: 2인 1,900,000원 → 4,199,292원의 약 45.2% → 교육급여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1. 내 소득이 중위소득 몇 %인지 계산하려면?

(소득인정액 ÷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100%) × 100

Q2. 맞벌이·사업소득·재산도 반영되나요?

소득인정액 산정 시 근로·사업·재산(부동산·금융자산·자동차 등)을 함께 고려합니다.

Q3. 8인 이상 가구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2026년은 1인 추가 시 959,198원씩 가산합니다.

Q4. 어디서 신청하나요?

주민등록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Q5. 중위소득과 최저임금은 같은가요?

다릅니다. 중위소득은 가구 소득의 중앙값, 최저임금은 시간당 임금 기준입니다.

2026 2인가구 중위소득 기준2026 2인가구 중위소득 기준표

마무리

2026년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평균 6~7% 상향되었습니다. 우리 가구의 월 소득 합계와 표의 기준을 먼저 맞춰본 뒤, 해당 제도의 신청 요건(소득인정액 여부 포함)을 확인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에너지 1등급 환급 신청 방법 으뜸효율 사이트

에너지 1등급 환급 신청 방법과 으뜸효율 사이트 이용 절차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대상 가전제품과 필요 서류, 환급 조건을 확인하면 최대 30만 원까지 현금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

rohmverse.rohm0407.com